신생아 배꼽소독 언제까지 해야할까요?
신생아 배꼽소독방법 & 소독 언제까지 해야하나요?
신생아 배꼽은 아기가 엄마 뱃속에 있을 때 영양을 공급받던 생명줄로서 출생 후부터는 그 기능을 잃게 됩니다.
배꼽은 잘 소독하여 말려주면 저절로 떨어지게 되어있고, 간혹 늦게 떨어지거나 배꼽에 염증이 생기거나 피가 난다
면 병원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신생아 탯줄, 배꼽
신생아 탯줄은 출생 후 10일정도, 늦어도 3주 이내에는 떨어지게 됩니다. 탯줄이 떨어진 자리에는 배꼽이 자리하고
있으며 탯줄은 떨어질 때 가지 습하지 않도록 관리해주어야합니다.
따라서 탯줄이 아직 떨어지지않은 신생아는 전신목욕을 피해야하고 물에 젖은 거즈등으로 몸을 닦는 것으로 대체
합니다. 신생아 전신목욕은 탯줄, 배꼽이 완전히 떨어진 후에 가능한데, 그 이유는 물이나 노폐물로 인한 세균감염
의 위험이 있기때문입니다.
신생아 배꼽은 언제 떨어지나요?
신생아 배꼽은 탯줄을 자른 후 10~20일 정도 지나면 자연스럽게 떨어집니다. 배꼽에 남은 탯줄은 물이 닿지 않도록
잘 말리면 거무스름하고 딱딱하게 변하면서 저절로 떨어집니다.
탯줄이 떨어지지 않는다고해서 무리하게 억지로 떼어내면 염증이 생길 수 있으니 반드시 주의해야하며 신생아 배
꼽은 저절로 떨어질 때 까지 그냥 두는 것이 안전합니다.
하지만 신생아 배꼽이 3~4주가 지나도 떨어지지않고 배꼽주위에서 냄새가 나거나 진물, 피가 나면 병원의 진료가
필요합니다.
신생아 배꼽소독방법, 언제까지?
하루 두번 오전과 오후에 배꼽소독을 해주는 것이 좋고 탯줄이 떨어진 후에도 2~3일에 한번은 소독해주는 것이 좋
습니다. 아기 목욕시키고 난 후에는 배꼽의 물기를 완전히 제거해야하며 특별히 알콜이나 다른 배꼽소독제를 사용
하지 않고 자연적으로 건조시켜도 괜찮습니다.
배꼽과 배가 만나는 부분, 살이 겹치는 부분 등 꼼꼼하게 물기를 제거해야하고 배꼽에 염증이 생겼을 때는 병원치
료를 받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또한 아직 배꼽이 떨어지지 않은 신생아는 기저귀를 채울 때 기저귀가 배꼽을 덮지 않도록하는 것이 좋습니다.
배꼽에 거즈나 솜을 덮어두지 않도록합니다.
신생아 배꼽 소독 후에 거즈나 솜을 덮어두면 건조되는 것을 방해하기때문에 소독 효과가 없습니다.
단, 병원에서 배꼽 진물로 인해 치료를 받은 뒤 덮어준 거즈는 떼어내지 않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또한, 배꼽소독 시에는 반드시 손을 깨끗이 씻고 해야합니다.
배꼽이 떨어지기 전 소독방법
배꼽 안쪽에서 바깥쪽으로 면봉이나 솜에 알코올을 묻혀 살살 닦아줍니다.
탯줄이 남아있는 배꼽부위를 검지와 중지로 피부를 살짝 눌러주면 밑 부분까지 꼼꼼하게 소독할 수 있으며 탯
줄집게와 집게주변도 소독해줍니다.
배꼽소독 후에는 완전히 건조시켜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배꼽 떨어진 후 소독방법
배꼽 안쪽은 목욕 후 면봉으로 살살 닦아주고 배꼽이 떨어진 후 배꼽에서 분비물이 더이상 나오지 않는다면 배
꼽소독을 중단해도 됩니다. 배꼽이 떨어진 후 일주일 정도가 지났는데도 계속해서 분비물이 나온다면 병원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신생아 육아종
배꼽에 살이 자라서 튀어나온 것을 신생아 육아종이라고 합니다. 육아종은 병원을 방문하면 간단하게 제거할 수 있
습니다. 육아종이 생겼을 때는 배꼽 소독을 더욱 철저히 해주어야하며 배꼽이 떨어진 부위에 염증이 발생하거나 진
물이 생기는 증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배꼽소독과 통풍을 잘 시켜주어야합니다.